직각 삼각형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두 가지 특별한 직각 삼각형 합동 조건이 있는데요. 바로 RHS 합동과 RHA합동입니다. 이 글에서는 직각 삼각형 합동 조건인 RHS합동과 RHA합동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개념부터 정리하고 시작하고자 합니다. 합동이라는 것은 두 도형의 크기와 형태가 같을 때 두 도형이 서로 합동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합동 기호는 ≡ 를 사용합니다. 용어를 이해해야 합동 조건이 이해가 되니 뜻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R: Right Angle(직각) H: Hypotenuse(빗변)-직각이 바라보는 변 S: Side(변) A:Angle(각) 위의 영어 약자는 RHS 합동과 RHA 합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기억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직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