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119

단항식과 다항식의 계산-항, 계수, 차수, 동류항 등 용어 총정리

단항식과 다항식의 문제를 풀 때 항은 몇개인지 차수는 몇 차 인지 등의 문제를 많이 접합니다. 이때 용어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없다면 무엇을 물어보는지 알 수 없게 되는데요. 이 글에서는 단항식과 다항식의 계산에서 나오는 항, 계수, 차수, 동류항, 상수항, 이차식, 전개 등의 용어를 총정리해보겠습니다. 항, 계수, 차수 뜻 항 : 수 또는 문자의 곱으로 이루어진 식 계수 : 항에서 문자에 곱한 숫자(문자 앞의 숫자) 차수 : 어떤 항에서 곱한 문자의 수 예를 들어 -2x³+4x-5 에서 항은 -2x³,4x,-5 항이 3개입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4x³에서 -4가 x³의 계수, 차수는 3차입니다. 단항식과 다항식 뜻 단항식이란 항이 한 개 뿐인 다항식 다항식이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항의 합으..

수학/중2 수학 2023.03.20

지수법칙 정리하고 문제로 이해해보기

중2 식의 계산 파트에서는 거듭제곱꼴로 바뀐 식을 간단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즉, 지수법칙 네 가지를 학습하는데요. 공식으로 생각하고 암기하기보다는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지수법칙에서 지수의 합, 곱, 차, 분배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 지수법칙 문제로 이해를 돕겠습니다. 우선 용어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을 정리하겠습니다. 용어 정리 및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 xⁿ 에서 x를 밑이라 하고 n을 지수라고 합니다. 또한 a는 a¹로 지수가 1입니다. 지수법칙은 밑이 같은 경우에만 적용합니다. 지수법칙 1-지수의 합 밑이 같은 수의 곱셈은 지수끼리 더합니다. 간단한 문제로 예를 들어보면 a×a³=a⁴입니다. 지수법칙 2-지수의 곱 거듭제곱의 거듭제곱은 지수끼리 곱합..

수학/중2 수학 2023.03.17

유리수와 순환소수/ 유한소수와 순환소수 판별법은?

중2 수학에서 처음 나오는 것이 바로 유리수와 순환소수입니다. 유리수에 대한 수체계를 좀 더 깊이 있게 학습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유리수 뜻은 무엇이고 소수를 분류하여 유한소수 뜻과 무한소수 뜻, 순환소수와 유리수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또한 어떤 유리수가 유한소수인지 순환소수인지 판별하는 방법까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리수 뜻 유리수란 분수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를 말합니다. 즉, a/b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입니다.(이때 분모 b는 0이 아닌 정수이고, 분자 a는 정수입니다.) 유리수의 분류 소수의 분류 소수는 유한소수와 무한소수로 나뉘는데 각각의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유한소수 : 소수점 아래 0이 아닌 숫자가 유한 번 나타나는 소수입니다. 예) 0.2, 0.48 무한소수 : ..

수학/중2 수학 2023.03.16

이차함수 그래프 유형과 성질 완벽 정리!

함수라는 것은 x의 값에 따라 오직 하나의 y값이 정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차함수라는 것은 x에 대한 이차식에 의하여 y값이 오직 하나 정해질 때를 말하는데요. 이차함수는 그래프 모양이 위로볼록하거나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게 되고 다양한 특징들이 나타납니다. 이 글에서는 이차함수 그래프 유형을 모두 정리하고 성질들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차함수 뜻 이차함수라는 것은 y가 x에 대한 2차식으로 표현될 때 이차함수라고 합니다. 즉, y=ax²+bx+c에서 a≠0 일 때 이를 이차함수라고 부릅니다. 이차함수는 그래프로 그리면 아래로 볼록하고, 위로 볼록한 형태로 표현되는데요. 이러한 곡선을 포물선이라고 부릅니다. 이 포물선은 하나의 선으로 접으면 좌우대칭으로 접히고, 이 선을 우리는 축이라고 부릅니다..

수학/중3 수학 2023.03.14

인수분해 공식 알아보고 그 개념 알기!

이차방정식을 풀기 위해서는 인수분해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전에 인수분해 공식이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에 대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인수분해 공식 개념을 알아보고 인수분해 공식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수와 인수분해 앞서 우리는 소인수분해를 중1에서 학습하였는데요. 소인수분해가 자연수를 소수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이었다면, 인수분해는 다항식을 인수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인수란 무엇일까요? 인수 :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다항식 곱으로 나타낼 때 각각의 식을 처음 수의 인수라고 합니다. 인수분해란 :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인수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인수분해는 전개의 역과정입니다. 다항식을 곱의 형태로 바꾸어 다항식을 ..

수학/중3 수학 2023.03.08

분모의 유리화 하는 이유와 방법은?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분모의 유리화인데요. 이 글에서는 분모의 유리화 방법과 분모의 유리화하는 이유에 대하여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분모의 유리화란? 분모의 유리화 : 분모에 근호가 있는 무리수가 있는 경우, 분모와 분자에 0이 아닌 같은 수를 곱하여 분모를 유리수로 고치는 것을 말합니다. 분모의 유리화 방법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근호 안에 제곱수가 들어가면 루트가 사라진다는 성질을 이용합니다. 분모에 있는 무리수를 분모와 분자에 똑같이 곱해주어 분모를 유리수로 바꾸는 것입니다. 분모의 유리화하는 이유는? 분모에 무리수가 있는 경우에는 계산이 복잡해집니다. 하지만 분모가 유리수로 바뀐다면 계산은 간단해집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1/√2=..

수학/중3 수학 2023.03.07

무리수와 실수 뜻/성질 정리해볼까요?(+무리수 소수 부분)

루트를 배웠으니 수체계는 무리수로 확장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유리수와 무리수 뜻을 정의하고 소수를 분류하겠습니다. 또한 실수 뜻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실수의 성질과 대소비교도 해보고, 무리수의 정수부분과 소수 부분 구하는 방법까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유리수와 무리수 뜻 중2까지 우리는 유리수까지 배웠습니다. 제곱근과 루트를 배우면서 수체계는 확장됩니다. 유리수 : 분수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 (이때 분모는 0이 아닌 정수이고, 분자는 정수입니다.) 유리수 예는 -1,2,0 등과 같은 정수도 분모가 1인 분수꼴로 바꿀 수 있으므로 유리수이고, 1/3, -0.25, 순환소수 등도 분수로 표현되니 유리수입니다. 또한 √4는 2와 같으므로 유리수입니다. 무리수 : 유리수가 아닌 수입니다. 즉 순환소수가 아닌..

수학/중3 수학 2023.01.02

제곱근 뜻과 성질, 루트 표현 알아볼까요?

중3이 되면 가장 먼저 배우는 파트가 제곱근과 실수입니다. 루트가 나오면서 수 영역은 무리수 부분까지 확장됩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제곱근 뜻과 제곱근 표현 기호인 루트를 알아보고 제곱근의 성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곱근의 뜻은? 어떤 수 x를 제곱하면 a가 된다고 할 때 x가 a의 제곱근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면 1과 -1을 제곱하면 1이 됩니다. 이때 1과 -1을 1의 제곱근이라고 합니다. 제곱근은 영어로 square root 입니다. '근'은 뿌리를 의미하여 제곱한 수의 뿌리가 되는 수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그림으로 표현해 볼까요? 나무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나무의 열매가 달리는 곳을 제곱, 뿌리가 제곱근 자리로 그림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우리는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수학/중3 수학 2022.12.29

공배수와 최소공배수 구하는법은?(+최소공배수의 활용)

공배수와 최소공배수 뜻을 정확하게 알아두는 것이 문제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두 자연수 이상의 공배수와 최소공배수 구하는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어떤 문제가 최소공배수의 활용 문제인지 파악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 수 있습니다. 공배수와 최소공배수 뜻은? 공배수란 두 개 이상의 자연수의 공통된 배수를 의미합니다. 최소공배수 뜻은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4의 배수는 4,8,12,16,20,24..이고 6의 배수는 6,12,24,30..입니다. 따라서 4와 6의 공배수(공통된 배수)는 12,24,36...이고 이 공배수들 중 가장 작은 것이 최소공배수 12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성질!! 공배수 12,24,36,... 은 최소공배수인 12의 배수입니다. 즉, 공배수는 ..

수학/중1 수학 2022.12.26

서로소 뜻/ 최대공약수 구하는법과 최대공약수의 활용 푸는 방법은?

수 두 개 이상의 약수를 구하면 두 수의 공약수와 최대공약수가 나오게 되는데요. 이 글에서는 공약수와 최대공약수 뜻을 알아보고 서로소 뜻, 최대공약수 구하는법에 대한 두 가지 방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또 최대공약수의 활용문제 해결방법의 팁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공약수와 최대공약수 뜻은? 공약수란 말 그대로 두 개 이상의 자연수의 공통된 약수를 말합니다. 최대공약수란 공약수들 중 가장 큰 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8의 약수는 1,2,4,8입니다. 12의 약수는 1,2,3,4,6,12입니다. 이때 8과 12의 공약수는 1,2,4이고 이 공약수 중 가장 큰 최대공약수는 4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성질!! 공약수 1,2,4는 최대공약수 4의 약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공약수는 그 수들의 최대공약..

수학/중1 수학 2022.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