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94

성종 가계도와 업적 간단 정리!(조선)

왕의 이름에서 成이 나오면 무언가를 이룬 왕을 의미하는데요. 이 글에서는 조선 성종의 가계도를 정리하고 성종 업적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종 성종은 조선 9대 왕으로 1457년 태어나 1469년 향년 37세로 승하하는데요. 비교적 짧은 인생을 살았던 성종이지만 그는 여인들이 많았습니다. 그는 세조의 장남인 의경세자와 세빈 한 씨의 아들이었습니다. 이 세빈 한 씨가 훗날 인수대비가 되는데요. 인수대비에 관한 글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인수대비와 폐비 윤씨의 관계는 어땠을까요? 드라마로도 제작된 적 있던 '인수대비' 이야기. 소혜왕후라는 시호보다는 인수대비로 유명한데요. 이 글에서는 인수대비의 파란만장한 삶과 연산군의 어머니인 폐비 윤 씨와의 관계에 대하여 tyrannohaha.com 성종 가계도 그..

역사 2022.11.08

인수대비와 폐비 윤씨의 관계는 어땠을까요?

드라마로도 제작된 적 있던 '인수대비' 이야기. 소혜왕후라는 시호보다는 인수대비로 유명한데요. 이 글에서는 인수대비의 파란만장한 삶과 연산군의 어머니인 폐비 윤 씨와의 관계에 대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인수대비(소혜왕후 한 씨) 1437년 10월 7일 출생하여 1504년 5월 11일 향년 66세로 일기를 마감합니다. 세조의 맏며느리이자 폭군이었던 연산군의 할머니이고, 조선 9대 왕 성종의 어머니입니다. 세조의 며느리가 되다. 세조의 맏아들이었던 도원 군(훗날 덕종으로 추존됨)의 아내가 됩니다. 시아버지인 세조가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면서 남편인 도원 군이 왕세자(의경세자)가 되었고, 자연스럽게 그녀도 세자빈으로 책봉됩니다. 남편과는 금슬이 좋았고, 결혼생활 5년 동안 2남 1녀를 낳습니다. 월산대군과..

역사 2022.11.07

조선왕조 계보 (가계도) 순서대로 요약 정리

1392년에 건립하여 1910년 조선이 사라지기까지 조선왕조 계보(가계도)는 어떻게 이어졌을까요?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으로 많이 외웠던 조선왕조 계보(가계도)를 순서대로 요약정리해보았습니다. 조선왕조 계보 (가계도) 성리학의 유교적 민본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근세사회를 열었던 조선.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1392년 건국하였고, 1910년 순종까지 총 27명의 왕이 있었고, 519년간 나라가 존속했습니다. 조선시대 구분은 임진왜란(선조)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 두 가지로 나뉘는 경우가 있고, 집권을 기준으로 전기-관학파 영향, 중기-사림파 영향 , 후기-세도 정치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래는 집권을 기..

역사 2022.11.05

필즈상 한국인 허준이 교수 부친의 교육법은? (+프로필)

한국계 미국인으로 수학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 어떻게 공부하였기에 필즈상을 수상했을까요? 허준이 교수 부친의 교육법이 궁금한데요. 이 글에서는 필즈상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허준이 교수의 프로필, 그의 어린 시절 수학 공부 수준과 허준이 부친의 교육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필즈상이란? 필즈상이란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4년마다 수여하는 수학계의 권위 있는 상입니다.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며 4년마다 2명에서 최대 4명까지 수여할 수 있습니다. 다른 상들과는 대비되는 특징이 있는데요. 바로 40세 미만인 경우에 필즈상 수상이 가능합니다. 필즈상 상금은 노벨상보다는 적은 15,000 캐나다 달라이며, 2022년 환율을 기준으로 약 1500만 원 정도에 해당합니다. 허준이 교수 프로필 생년월일 : 198..

수학/수학자 2022.11.03

세제곱 곱셈공식과 변형 공부하기(중등+고등)

중3에서 나온 곱셈공식이 고등학교에 들어가면 더 다양해집니다. 이 글에서는 세제곱 곱셈공식과 변형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공식인 만큼 그 식이 왜 그렇게 정리되는지를 이해했다면 반드시 암기하고 있어야 합니다. 기본 개념 고1에 처음 올라가면 배우는 내용이 '다항식의 연산'입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개념이 나머지 정리와 인수분해인데요. '인수분해'와 '곱셈공식'은 서로가 서로의 역과정입니다. 인수분해란 곱의 형태로 바꾸는 것이며, 이 곱의 형태를 덧셈과 뺄셈의 전개된 형태로 바꾸는 것이 '곱셈공식'입니다. 따라서 세제곱 곱셈공식을 잘 익혀놔야 뒤에 나오는 인수분해를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세제곱 곱셈공식 고1 수학에서 나오는 세제곱 곱셈 공식입니다. 아래 사진 ①~④ 은 중학교 때 배운 내용이고 ⑤..

직각 삼각형 합동 조건(RHS합동, RHA합동)

직각 삼각형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두 가지 특별한 직각 삼각형 합동 조건이 있는데요. 바로 RHS 합동과 RHA합동입니다. 이 글에서는 직각 삼각형 합동 조건인 RHS합동과 RHA합동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개념부터 정리하고 시작하고자 합니다. 합동이라는 것은 두 도형의 크기와 형태가 같을 때 두 도형이 서로 합동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합동 기호는 ≡ 를 사용합니다. 용어를 이해해야 합동 조건이 이해가 되니 뜻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R: Right Angle(직각) H: Hypotenuse(빗변)-직각이 바라보는 변 S: Side(변) A:Angle(각) 위의 영어 약자는 RHS 합동과 RHA 합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기억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직각 ..

수학/중2 수학 2022.10.13

수학 잘하는 법, 수학 공부법 알려드릴게요.

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어려워하고 학년이 갈수록 수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많아지는데요. 이 글에서는 어떻게 하면 수학을 잘할 수 있는지 수학 잘하는 법, 수학 공부법에 대한 비결을 알려드릴게요. 수학 잘하는 법(수학 공부법) 수학을 잘하고 싶은데 어려운 분들께 5가지 수학 공부법을 소개합니다. 수학 잘하는 법(수학 공부법) -기본 개념에 충실하라. 수학은 개념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수학이 개념을 기초로 발전했기 때문이죠. 많은 학생들이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 없이 기계적으로 수학 계산을 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많은 학생들이 일차 방정식을 풀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방정식이 뭐냐고 물어보면 뭐지?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가 기계적으로 수학을 풀고 있지는 않았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수학 잘..

수학 2022.10.11

고1 수학 목차(상, 하) 학기 별로 정리했어요

중학교를 졸업하고 처음 고등학교에 올라가면 내용도 방대해지고 갑자기 수학이 확 어려워진다는 느낌을 받는데요. 필수 과목이라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라면 누구나 배워야 하는 고1 수학. 이 글에서는 고1 수학 목차(상, 하)를 1학기, 2학기 나누어 어떤 것들을 배우게 되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3년 9월 모의고사 범위 (고1/고2/고3)와 일정 확인해보기 2023년 9월 모의고사가 3달 남았습니다. 9모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해 고1, 고2, 고3 2023년 9월 모의고사 시험 범위와 일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2023년 9월 모의고사 범위와 일정-고 tyrannohaha.com 고1 수학 목차(상) - 1학기 고1 수학(상) 1학기는 총 3개의 대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2..

원둘레 공식(원주 구하는 공식)과 원 넓이 공식 정리

원은 한 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모임을 말합니다. 이때 한 점을 우리는 원의 중심이라고 부르고,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을 선으로 이은 것을 원주(원둘레)라고 하는데요. 오늘 이 글에서는 원에 대한 용어를 간단하게 정리하고 원둘레 공식(원주 구하는 공식)과 원 넓이 공식을 총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원에서 각각이 무엇을 칭하는지 그 용어부터 정리하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원 원은 한 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모임입니다. 이때 고정된 한 점을 '원의 중심'이라고 합니다. 원의 중심과 원 위의 한 점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이라고 하며, 반지름은 그 길이가 모두 동일하면서 무수히 많습니다. 원의 중심을 지나는 선분을 '지름'이라고 합니다. 지름 또한 그 길이가 모두 동일하며 무수히..

수학/중1 수학 2022.09.14

평행사변형 넓이 공식/ 사다리꼴 넓이 공식 / 마름모 넓이 공식 정리

도형에서 중요한 것이 넓이 구하는 방식인데요. 이 글에서는 평행사변형 넓이 공식과 사다리꼴 넓이 공식, 마름모 넓이 공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평행사변형 넓이 공식 평행사변형이란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인 사각형을 말합니다. 이때 평행인 두 변을 '밑변'이라고 하고, 두 밑변 사이의 거리를 '높이'라고 합니다. 평행사변형 넓이 공식은 밑변 × 높이 입니다. 사다리꼴 넓이 공식 사다리꼴이란 마주 보는 한 쌍의 대변이 서로 평행하는 사각형을 말합니다. 위에서 본 평행사변형이 두 쌍의 대변이 평행하므로 평행사변형도 사다리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위쪽의 변을 '윗변', 아래쪽의 변을 '아랫변', 윗변과 아랫변 사이의 거리를 '높이'라고 합니다. 사다리꼴 넓이 공식은 (윗변 +아랫변) × 높이÷2 입니다..

수학/중1 수학 2022.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