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24

고조선의 역사-건국에서 멸망까지(위만조선,8조법 등)

청동기 시대 계급사회가 출현하면서 처음 만들어진 나라가 바로 '고조선'인데요. 단군 조선과 위만 조선을 통틀어 고조선이라 칭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청동기 시대에 만들어진 고조선의 역사를 단군신화 내용의 건국에서부터 멸망하기까지 위만 조선과 8조법 등 조금 더 구체적으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조선(단군 조선) 신화 (단군신화) 단군 신화 이야기는 유명한데요. 하늘의 신인 환인의 아들이 환웅이었습니다. 환웅은 비, 바람 구름 등의 신하와 함께 인간 세계에 내려옵니다. 어느 날 곰과 호랑이가 사람이 되고 싶어서 환웅에게 찾아갑니다. 환웅은 동굴에서 100일 동안 쑥과 마늘만 먹으라고 합니다. 호랑이는 중도에 포기하고 곰은 100일을 다 채워 사람(여인)이 되는데요. 이것이 바로 웅녀입니다. 환..

역사 2024.02.24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특징 정리(생활 모습+유물)

선사시대는 크게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나뉩니다. 이 글에서는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특징과 생활 모습, 유물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동기 시대 특징 기원전 2000년~1500년 경. 구리에 주석 또는 아연을 섞어서 만든 청동기가 보급됩니다. 하지만 청동이 귀했기에 특별한 경우에만 청동이 사용되고 석기가 혼용됩니다. 청동기 : 제작이 어려워 의식용 도구나 무기로 주로 사용됩니다. 청동기와 석기가 혼용되어 사용됩니다. -청동 유물 : 비파형 동검, 거친 무늬 거울, 청동 거울, 의례용 방울 등 -석기 유물 : 반달돌칼 등 농기구는 석기가 사용됩니다. 송국리식 토기, 미송리식 토기, 민무늬 토기, 붉은 간 토기 등이 제작됩니다. 청동기 시대 생활 모습 1. 경제생활 조,..

역사 2024.02.22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비교(+주요 유적지)

역사를 아는 것이 참 중요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앞으로의 연재되는 글에서는 구석기시대부터 시작하여 우리나라 역사를 알아가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 글에서는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를 비교하고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를 경험할 수 있는 주요 유적지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선사시대란? 선사시대라는 것은 쉽게 말하면 문자로 기록되기 이전의 시대를 말합니다. 문자로 기록된 것이 없기 때문에 유물과 유적을 통해 당시 상황을 유추하고 추측합니다.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비교 시대 구분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1) 사용 도구 뗀석기(돌을 깨트려 날을 만든 도구) 주먹 도끼, 돌날, 찍개, 슴베찌르개, 밀개, 긁개 등이 있음 간석기..

역사 2024.02.21

이승만 대통령 업적과 비판 정리

'건국전쟁'이라는 다큐멘터리 형식의 영화가 인기리에 상영 중인데요.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영화인데 영화에 대한 찬반이 많이 있죠. 이 글에서는 이승만 대통령 생애를 정리하고 이승만 대통령 업적과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비판 논란에 대하여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승만 대통령 생애 1875년 황해도 평산군 탄생(고종 12년) 1899년 배재학당에 입학하여 영어를 배우고 신학문을 접함 1904년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 프린슨턴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 1910년 일본이 대한제국을 강제로 합병하자 귀국하여 독립운동 전개 1919년 3.1 운동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 선출 1948년 광복 이후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출 1948년 대한민국 헌법 제정, 대한민국 정부 수립 1950..

역사 2024.02.19

고려 거란 전쟁 강감찬 업적과 일생은? (+귀주대첩 강감찬 요약)

KBS2 토, 일 오후 9시 25분에 32부작 고려 거란 전쟁이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데요. 이글에서는 고려 거란 전쟁에서 큰 승리를 이끌었던 강감찬 장군 업적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고구려의 을지문덕, 조선의 이순신과 비견되는 명장으로 인정받는 강감찬. 고려 거란 전쟁 드라마에서 최수종 님이 연기하는 강감찬 일생을 요약하고, 그 업적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강감찬 일생 948년 12월 27일 금주(지금의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에서 태어났습니다. 983년 문과에 장원급제합니다. 이때 나이는 36세로 늦은 편이었습니다. 1009년(목종 말년) 예부시랑(고려시대 문관의 인사와 훈봉 등 사무를 담당한 중앙관청 예부의 정4품관직)이 되었습니다. 강감찬은 정식 무관으로 임명된 적이 없습니다. 30년 넘..

역사 2024.01.02

태종 이방원과 아내 원경왕후의 부부갈등-처가를 박살내다

조선 제3대 국왕인 태종 이방원의 왕비이며 조선 제4대 국왕 세종의 어머니인 원경왕후. 이방원의 아내이면서 이방원이 왕에 오르는데 목숨을 걸고 도움을 준 아내 이상의 역할을 했던 원경왕후인데요. 하지만 남편인 태종 이방원에 의해 원경왕후의 친정이 박살이 나는 아픔을 겪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원경왕후의 생애와 태종 이방원과 원경왕후의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태종 이방원의 아내 원경왕후 생애 원경왕후는 1365년 고려 공민왕 시기에 고려 최고 명문가였던 여흥 민 씨 가문의 수장인 민제의 3녀로 태어납니다. 어려서부터 '맑고 아름답고 총명하고 지혜롭다.'라는 평을 받으며 자라게 됩니다. 원경왕후는 18세의 나이에 16세였던 2살 연하의 이방원과 혼례를 치르게 되고, 4남 4녀를 낳습니다. 태종 이방원과 아내..

역사 2023.05.16

인조 소현세자 죽음은 독살이었을까?

소현세자의 죽음을 소재로 한 영화 [올빼미]가 개봉되었는데요. 이 글은 영화 내용과는 무관하게 조선왕조에서 비운의 왕세자로 꼽히는 소현세자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지금부터 인조 소현세자 죽음은 독살이었는지에 대하여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비운의 왕세자 소현세자 소현세자는 광해군 4년에 인조와 인열왕후의 장남으로 태어납니다. 훗날 인조반정으로 인조가 왕위에 오르고 소현세자는 14살의 나이에 세자로 책봉됩니다. 소현세자는 인조 5년 말 강석기의 딸 강빈과 혼인을 하게 되고, 이후 병자호란이 발생합니다.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다. 인조 14년 발발한 병자호란. 청나라에 치욕적으로 패배합니다. 청나라는 조선과 명나라와의 교류를 막을 목적으로 소현세자와 그의 동생 봉림대군을 함께 볼모로 잡아 인질로 끌려갑니..

역사 2022.12.09

철종 가계도와 강화도령이 왕이 되기까지의 이야기

강화도에서 나무꾼을 하던 이가 조선의 왕이 된 이야기.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바로 철종인데요. 왕이 된 이후에도 강화도령이라는 무시를 받으며 제대로 된 정치조차 할 수 없었던 왕. 이 글에서는 철종 강화도령 왕이 되기까지 이야기와 철종 가계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철종 강화도령 왕이 되기까지 이야기 철종은 조선 25대 왕으로 헌종 다음 왕이 됩니다. 그는 어린 시절 가족들과 함께 강화 교동도로 유배되어 강화도에서 나무꾼으로 보낸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래서 그를 '강화도령'이라고 부르는데요. 왕이 된 이후에도 강화도령이라는 별명으로 불린 것으로 보아 그의 왕권은 상당히 약했습니다. 철종은 누구의 후손이었나? 어린 시절 철종의 이름은 '이원범'이었습니다. 이원범은 사도세자의 몇 안 되는 후손이었는..

역사 2022.12.05

광해군과 인목대비의 악연(+임진왜란 영웅 광해군)

폭군으로 알려져 있는 광해군이 임진왜란의 영웅이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는 광해군이 임진왜란에 세웠던 공과 인목대비와의 악연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광해군 세자가 되다.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인조반정으로 인하여 폐위된 군주입니다. 선조와 후궁 공빈 김 씨 사이에 둘째 서자로 태어납니다. 선조의 정비 의인왕후에 후사가 없었고, 선조의 장남이자 광해군의 동복형 임해군이 있었지만 나이도 많은데 포악하고 사람을 죽이는 추악한 성품을 가지고 있어 외면당합니다. 또한 광해군의 이복동생 의안군과 신성군 모두 일찍 죽어 광해군의 경쟁자가 사라지게 됩니다.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 선조는 전쟁을 피해 도성을 떠나 도망치려 합니다. 이때 긴급히 광해군을 왕세자로 임시 책봉하고 이로..

역사 2022.11.29

영조 가계도와 업적/영조가 사도세자를 죽인 이유는?

영조가 자신의 아들인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죽인 이야기는 영화 [사도세자]로도 제작이 된 적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영조 가계도와 영조 업적, 영조가 사도세자를 죽인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조 가계도 1694년 10월 31일 숙종과 숙빈 최 씨의 차남으로 태어났습니다. 그의 어머니 숙빈 최 씨는 인현왕후를 모시던 몸종 무수리 출신이었습니다. 이로 인하여 영조는 자신의 어머니 출신에 콤플렉스가 심했다고 합니다. 조선 21대 왕이 되며, 왕실 최초로 왕세자가 아닌 왕세제로 왕위에 오릅니다.(숙종의 아들로 왕위에 오른 것이 아니라 경종의 이복동생으로서 왕위에 오릅니다.) 52년간 왕으로 집권했으며 이는 조선 최대 장기 집권 기간이고, 조선 왕들 중 가장 장수(81세)한 군주입니다. 정비-정..

역사 2022.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