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83

등차수열 합공식과 수학자 가우스의 생애 정리

중학교 수학 시간에 선생님께서 가우스 이야기를 해주신 적이 있다. 초등학생 때 1부터 100까지의 합을 쉽고 빠르게 계산했었노라고.. 그 이야기는 신선했었다. 훗날 이 방식이 등차수열 합공식에 나온다는 걸 깨닫게 되었다. 오늘은 등차수열 합공식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수학자 가우스의 생애를 정리 해보려고 한다. 등차수열 합공식을 생각한 가우스의 계산법 위에 잠시 언급했던 가우스가 1부터 100까지 합을 계산한 방법에 대하여 조금 자세히 알아보려고 한다. 가우스의 생각은 1부터 100까지를 계단 모양으로 생각했다. 1을 벽돌 하나라고 생각한다면 100은 벽돌 100개가 깔려있다고 생각한다면 1+2+3+...+100은 마치 계단 모양의 그림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그림을 뒤집어서 위에 거꾸로 덮어버리면 가로의..

수학/수학자 2021.05.20

피타고라스의 정리- 수학자 피타고라스 일생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발견한 수학자 피타고라스. 이 글에서는 수학자 피타고라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그가 세웠던 피타고라스 학교부터 피타고라스의 정리까지 그의 일생을 만나보도록 하자. 가장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수학자-피타고라스 우리가 중학교 2학년이 되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배우게 된다. 이 정리가 어떤 사람들에게는 신기했을 것이고 어떤 이들은 이때부터 수학을 멀리하게 하는 이유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우선 피타고라스의 탄생부터 살펴보자. 피타고라스는 기원전 569년경 사모스 섬에서 태어나 기원전 500년경 이탈리아 남단에 있는 크로톤이라는 곳에서 죽었다고 알려져 있다. 어렸을 때부터 신동으로 소문이 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유명한 탈레스에게서 공부하였고 이집트에서 20여 년동안 지내면서 수학..

수학/수학자 2021.05.19

생활 속 수학이야기1 - 루트를 배우는 이유

생활 속 수학 이야기. 루트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우리가 중학생 때 배우는 것 중 하나가 루트이다. 중3이 되면 수학에서는 학생들에게 루트(√)를 가르친다. 물론 중1 때 원주율을 배우면서 파이를 배우기 때문에 그 때 알게 모르게 무리수를 배운다. 그러나 우리는 루트를 배우면서 본격적으로 새로운 수체계가 열리는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 즉 루트를 배우면서 우리는 무리수의 세계로 들어간다. 유리수는 피자조각을 나누어 먹을 때에도 분수 개념이 사용되며, 영하 영상 온도에도 정수 개념이 사용되어진다. 이렇게 유리수는 우리 실제 생활에 그래도 쓸데가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루트가 우리 생활에 쓰이는가라는 질문을 하게 된다. 유리수와 정수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것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긴 하지만 루트가 실제 생활에..